최근 튀르키예(구 터키), 시리아에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여 수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정말 엄청난 대참사입니다. 건물이 힘없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면서 튀르키예의 내진 설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아보고, 우리나라 또한 더 이상 지진이라는 천재지변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기 우리 집은 내진 설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해 조회해 보도록 합시다. 내진설계
의무대상 확인 결과 우리 집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서비스
2000.05.22 ~ 2005.07.17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경기도,강원남부(강릉, 동해, 삼척, 원주, 태백, 영월, 정선),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북동부(광양, 나주, 순천, 여수,
www.aurum.re.kr
해당 사이트에서는 건축물 허가일 기준으로 내진설계 법적 의무 대상 여부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제 우리 집의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지 정확한 내진성능은 전문가의 구조 안전 진단이 필요합니다. 건축법령에
의한 기간별 내진설계적용 대상
허가일자 | 층수 | 연면적 | 높이 |
'88.02.28일 이전 | 기준없음 | 기준없음 | 기준없음 |
'88.03.01 ∼ '96.01.05 | 6층 이상 | 10만제곱미터 이상 | 기준없음 |
'96.01.06 ∼ '05.07.17 | 6층 이상 | 1만제곱미터 이상 | 기준없음 |
'05.07.18 ∼ '09.07.15 | 3층 이상 | 1천제곱미터 이상 | 기준없음 |
'09.07.16 ∼ '15.09.21 | 3층 이상 | 1천제곱미터 이상 | 높이 13미터 이상 |
'15.09.22 ∼ '17.02.03 | 3층 이상 | 500제곱미터 이상 | 높이 13미터 이상 |
'17.02.04 ∼ '17.11.30 | 2층 이상 | 500제곱미터 이상 | 높이 13미터 이상 |
'17.12.01. 이후 | 2층 이상 | 200제곱미터 이상 | 높이 13미터 이상 (단독·공동주택 포함) |
해당 법령 정보
[시행 2017.10.24.] [대통령령 제28397호, 2017.10.24., 일부개정]
제32조(구조 안전의 확인)
① 법 제48조제2항에 따라 법 제11조제1항에 따른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는 경우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구조기준 등에 따라 그 구조의 안전을 확인하여야 한다. <개정 2009.7.16., 2013.3.23., 2013.5.31., 2014.11.28.>
1.∼ 7. 삭제 <2014.11.28.>
② 제1항에 따라 구조 안전을 확인한 건축물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건축주는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로부터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받아 법 제21조에 따른 착공신고를 하는 때에 그 확인 서류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4.11.28., 2015.9.22., 2017.2.3., 2017.10.24.>
1. 층수가 2층[주요구조부인 기둥과 보를 설치하는 건축물로서 그 기둥과 보가 목재인 목구조 건축물(이하 "목구조 건축물"이라 한다)의 경우에는 3층] 이상인 건축물
2. 연면적이 200제곱미터(목구조 건축물의 경우에는 5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만, 창고, 축사, 작물 재배사 및 표준설계도서에 따라 건축하는 건축물은 제외한다.
3. 높이가 13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처마높이가 9미터 이상인 건축물
5.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10미터 이상인 건축물
6.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를 고려한 중요도가 높은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건축물
7.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
8. 제2조제18호가목 및 다목의 건축물
9. 별표 1 제1호의 단독주택 및 같은 표 제2호의 공동주택
③ 제6조제1항제6호다목에 따라 기존 건축물을 건축 또는 대수선하려는 건축주는 법 제5조제1항에 따라 적용의 완화를 요청할 때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신설 2017.2.3.>
[시행일 : 2017.12.1.] 제32조제2항
지진의 규모 및 진도
규모 | 진도값과 설명 |
1.0~2.9 | Ⅰ. 사람들은 느낄 수 없지만 지진계에 기록된다. |
3.0~3.9 | Ⅱ. 소수의 사람들, 특히 건물의 윗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서만 느낀다. 매달린 물체가 약하게 흔들린다. |
Ⅲ. 실내에서 현저하게 느끼게 되는데, 특히 건물의 윗층에 있는 사람에게 더욱 그렇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지진이라고 인식하지 못한다. 정지하고 있는 차는 약간 흔들린다. 트럭이 지나가는 것과 같은 진동이 있고, 지속시간이 산출된다. | |
4.0~4.9 | Ⅳ. 낮에는 실내에 서 있는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으나, 실외에서는 거의 느낄 수 없다. 밤에는 일부 사람들이 잠을 깬다. 그릇, 창문, 문 등이 소리를 내며, 벽이 갈라지는 소리를 낸다. 대형 트럭이 벽을 받는 느낌을 준다. 정지하고 있는 자동차가 뚜렷하게 움직인다. |
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지진동을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잠을 깬다. 그릇, 창문 등이 깨어지기도 하며, 어떤 곳에서는 회반죽에 금이 간다. 불안정한 물체는 넘어 진다. 나무, 전신주등 높은 물체가 심하게 흔들린다. 추시계가 멈추기도 한다. | |
5.0~5.9 | Ⅵ. 모든 사람들이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놀라서 밖으로 뛰어나간다. 무거운 가구가 움직이기도 한다. 벽의 석회가 떨어지기도 하며, 피해를 입는 굴뚝도 일부 있다. |
Ⅶ. 모든 사람들이 밖으로 뛰어 나온다. 설계 및 건축이 잘 된 건물에서는 피해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지만, 보통 건축물에서는 약간의 피해가 발생한다. 설계 및 건축이 잘못된 부실건축물에서는 상당한 피해가 발생한다. 굴뚝이 무너지며 운전 중인 사람들도 지진동을 느낄 수 있다. | |
6.0~6.9 | Ⅷ. 특별히 설계된 구조물에는 약간의 피해가 있고, 일반 건축물에서는 부분적인 붕괴와 더불어 상당한 피해를 일으키며, 부실 건축물에서는 아주 심하게 피해를 준다. 창틀로부터 창문이 떨어져 나간다. 굴뚝, 공장 물품더미, 기둥, 기념비, 벽들이 무너진다. 무거운 가구가 넘어진다. 모래와 진흙이 약간 분출된다. 우물물의 변화가 있다. 차량운행 하기가 어렵다. |
Ⅸ. 특별히 잘 설계된 구조물에도 상당한 피해를 준다. 잘 설계된 구조물의 골조가 기울어진다. 구조물에 부분적 붕괴와 함께 큰 피해를 준다. 건축물이 기초에서 벗어난다. 지표면에 선명한 금자국이 생긴다. 지하 송수관도 파괴된다. | |
7.0 이상 | Ⅹ. 잘 지어진 목조 구조물이 부서지기도 하며, 대부분의 석조 건물과 그 구조물이 기초와 함께 무너진다. 지표면이 심하게 갈라진다. 기차 선로가 휘어진다. 강둑이나 경사면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며, 모래와 진흙이 이동한다. 물이 튀며, 둑을 넘어 흘러내린다. |
ⅩⅠ. 남아 있는 석조 구조물은 거의 없다. 다리가 부서지고 지표면에 심한 균열이 생긴다. 지하 송수관이 완전히 파괴된다. 지표면이 침하하며, 연약 지반에서는 땅이 꺼지고 지면이 어긋난다. 기차선로가 심하게 휘어진다. | |
ⅩⅡ. 전면적인 피해 발생. 지표면에 파동이 보인다. 시야와 수평면이 뒤틀린다. 물체가 공중으로 튀어 나간다. |
시스템지진의 규모 및 진도
본 시스템은 건축물대장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도민 여러분께서 손쉽게 내진설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비하실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지진을 대비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은 `88년 제도 내진설계 도입 이후 아래의 법령정보와 같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적용하고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ChatGPT)란 무엇일까요? - 챗지피티가 작성한 글(2) (0) | 2023.02.22 |
---|---|
챗GPT(ChatGPT)란 무엇일까요? - 챗지피티가 작성한 글(1) (1) | 2023.02.22 |
설탕대신 스테비아? 효능과 부작용, 관련 제품(토마토, 커피믹스 등) (0) | 2023.01.03 |
네옴시티(네옴 더 라인) 빈살만의 정치적 의도 (1) | 2022.12.11 |
[커넥트채널] 5초당 100원? 미친 꿀통 재테크 정책 바뀌기 전에 바로 시작하세요! (0) | 2022.10.12 |
댓글